욕창이 생겼을 때 증상 및 관리,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욕창이 생겼을 때 어떻게 관리하고 치료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욕창은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인해 피부와 조직이 손상되는 증상으로, 특히 치매 환자나 거동이 어려운 분들에게 자주 발생합니다. 한 번 생기면 치료가 어렵고, 방치하면 감염 등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초기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1. 욕창의 주요 증상
욕창은 진행 단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초기에 발견하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을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단계: 피부가 붉어지고, 눌러도 원래 색으로 돌아오지 않음. 가려움이나 따가운 느낌이 있을 수 있음.
2단계: 피부가 벗겨지거나 물집이 생기고, 약간의 통증이 동반됨.
3단계: 피부 아래 지방층까지 손상되며, 괴사가 진행될 수 있음.
4단계: 근육과 뼈까지 괴사가 진행될 수 있으며, 감염 위험이 높아짐.
욕창은 초기에 발견해 바로 관리하면 심각한 상태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욕창 관리 및 치료 방법
욕창이 생기면 단계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치매 환자나 거동이 어려운 분들은 주기적인 체크와 세심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1. 압력 완화 및 자세 변경
욕창이 생긴 원인 중 가장 큰 요소가 ‘지속적인 압박’이기 때문에, 압력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두 시간마다 자세 바꾸기: 침대에 누워 계신 경우 정기적으로 몸의 방향을 변경해야 합니다.
휠체어 사용 시 체중 이동: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체중을 이동시켜 특정 부위가 계속 눌리지 않도록 합니다.
* 에어매트 사용: 욕창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에어매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공기 압력을 조절해 체중이 한 부위에 집중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 )에어매트 사용법
에어매트는 욕창이 발생한 분들에게 압력 분산 효과를 주어 상처 악화를 막아주고 회복을 돕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다음 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에어매트 선택하기: 자동 공기 순환 기능이 있는 제품이 좋으며, 환자의 체중과 상태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바른 위치에 깔기: 일반 매트리스 위에 직접 깔아 사용하며, 공기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완전히 펴서 배치해야 합니다.
- 공기 압력 조절: 너무 단단하면 체중 분산 효과가 떨어지고, 너무 약하면 지지력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환자가 침대에 누웠을 때 엉덩이 부분이 너무 깊이 꺼지지 않도록 적절한 압력으로 조정합니다.
- 정기적인 관리: 에어매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매일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공기 주입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에어매트를 잘 활용하면 압력 완화 효과로 욕창 진행을 늦추고,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피부 청결 및 보습 유지
욕창 부위는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미지근한 물과 순한 비누로 부드럽게 세척 상처가 있는 경우 습윤 드레싱(하이드로콜로이드 등) 사용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보습제를 발라 보호
3. 영양 관리
피부 재생을 돕고 상처 회복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영양 섭취가 중요합니다.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고기, 생선, 두부, 계란 등) 비타민C, 아연 등이 포함된 음식 (과일, 견과류 등) 충분한 수분 섭취
4. 의료적 치료
욕창이 심해지면 의료진의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초기(1~2단계): 상처 보호 패드를 사용하고, 병원 진료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심한 욕창(3~4단계): 괴사 조직 제거, 항생제 치료 등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치매 환자나 거동이 어려운 분들의 욕창 관리법 치매 환자나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분들은 욕창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가족이나 간병인이 더욱 세심한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루에 여러 번 피부 상태를 확인하기 – 특히 뼈가 돌출된 부위를 집중적으로 살펴야 합니다.
✔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하기 – 침대에 오래 누워 있을 경우 정기적으로 자세를 바꿔야 합니다.
✔ 휠체어나 침대에 적합한 쿠션 & 에어매트 사용 – 압력을 분산시켜 욕창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규칙적인 영양 공급과 수분 섭취 유도 – 식사 거부가 잦은 경우 영양 보충 음료 등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피부 청결 유지 – 땀, 분비물이 있는 경우 빠르게 닦아주고 보습을 유지합니다.
마무리하며
욕창은 초기에 발견해 적절한 관리를 하면 충분히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매 환자나 움직이기 어려운 분들은 스스로 관리하기 어려운 만큼, 주변에서 꾸준히 신경 써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변에 욕창 관리가 필요한 분이 있다면 오늘 내용을 참고해 도움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영양제를 먹으면 덜 피곤한 이유 (0) | 2023.06.28 |
---|